한국폴리텍대학 전국 캠퍼스 안내
캠퍼스명을 선택하시면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서울.경기: ①Ⅰ대학(1대학) ②Ⅱ대학(2대학) 강원도: ③Ⅲ대학(3대학) 충청북도: ④Ⅳ대학(4대학), ■기술대안고교 충청남도: ④Ⅳ대학(4대학), ★특성화 전라북도: ⑤Ⅴ대학(5대학), ●인재원, ◆신기술교육원 전라남도: ⑤Ⅴ대학(5대학) 경상북도: ⑥Ⅵ대학(6대학), ★특성화 경상남도: ⑦Ⅶ대학(7대학), ★특성화 제주도: ①Ⅰ대학(1대학)
- 서울.경기 : 서울정수캠퍼스, 서울강서캠퍼스, 성남캠퍼스, 융합기술교육원, 인천캠퍼스, 남인천캠퍼스, 화성캠퍼스, 광명융합기술교육원, 반도체융합캠퍼스
- 강원도 : 춘천캠퍼스, 원주캠퍼스, 강릉캠퍼스
- 충청북도 : 청중캠퍼스, 충주캠퍼스, 다솜고등학교
- 충청남도 : 대전캠퍼스, 아산캠퍼스, 충남캠퍼스, 바이오캠퍼스
- 경상북도 : 대구캠퍼스, 남대구캠퍼스, 구미캠퍼스, 포항캠퍼스, 영주캠퍼스, 영남융합기술캠퍼스, 로봇캠퍼스
- 전라북도 : 전북캠퍼스, 익산캠퍼스, 인재원, 신기술교육원
- 경상남도 : 창원캠퍼스, 부산캠퍼스, 울산캠퍼스, 동부산캠퍼스, 진주캠퍼스, 석유화학공정기술교육원, 항공캠퍼스
- 전라남도 : 광주캠퍼스, 전남캠퍼스, 순천캠퍼스
- 제주도 : 제주캠퍼스
- ①Ⅰ대학
- ②Ⅱ대학
- ③Ⅲ대학
- ④Ⅳ대학
- ⑤Ⅴ대학
- ⑥Ⅵ대학
- ⑦Ⅶ대학
- ★특성화
- ●인재원
- ◆신기술교육원
- ■기술대안고교
수도권
경상도
제주도


campus 콘텐츠영역
location영역
바이오캠퍼스 본문
바이오생명정보

바이오생명정보과 교과목소개 구분 : 과목명 : 과목설명 : 시수 이론 : 분자생물학 및 분자진단개론 : 자생물학의 기본 이론과 용어를 이해하고, 분자생물학에 기초한 분자진단분야의 사용되는 다양한 현장기술용어 소개와 해설을 집중적으로 습득 : 48 이론 : 생화학 : 단백질,탄수화물, 지질의 기능, 효소의 구조적 특징, 핵산의 종류와 구조, 분자생물학 최신 기법 등을이해 : 48 이론 : 산업미생물학 : 미생물학의 기본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습득함으로서 생명체 및 생명현상의 복잡한 시스템을 이해하고 나아가 바이오관련 산업분야에 응용할 수있는 능력 함양 : 48 이론 : 면역학개론 : 면역진단에 필요한 기본원리와 기술을 학습하여 산업체의 전문인력으로 양성 : 48 이론 : 기초생리화학 : 인체를 중심으로한 동물의 기초생리 지식을 습득함으로 신약개발시 임상 및 전임상 시험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함양 : 48 이론 : 생명정보개론 : 생명정보에 필요한 용어 및 기기 매뉴얼을 숙지하고 생명정보물질에 대한 개념을 익히고 현장실무에 필요한 생명정보기초이론을 습득 : 48 실습 : 화학 및 실습 : 분석기기를 활용하여 시료의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특성을 확인하고 전처리를 준비, 실시하는 능력을 함양 : 64 실습 : 기초조작실습 : 분석장비 검·교정, 분석장비 유지·관리, 분석장비 소모품 관리, 분석장비 관리대장 작성 등을 수행하는 능력을 함양 : 64 실습 : 문서작성관리실무 : 바이오 분야의 문서 작성 및 관리에 필요한 전공 영어용어와 주요 소프트에어의 사용방법을 숙달하여, 바이오 산업현장에서의 문서작성과 관리 능력을 향상 : 48 실습 : 무균관리 : 멸균시 주의사항 확인, 멸균기를 이용한 배지멸균, 멸균여부 확인, 멸균기 유지보수 등을 수행하는 능력을 함양 : 48 실습 : 세포조작실습 : 세포주의 배양을 위하여 세포주관리, 배지조제, 멸균, 배양 등을 하는 능력을 함양 : 48 실습 : PCR실습 : 유전자진단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최적화하기 위하여 분석항목 확인, 분석작업 수행, 분석결과 확인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함양 : 48 실습 : 유전자조작 : 유전자를 확보하기 위한 기초 기술을 훈련 : 48 실습 : 산업미생물실습 : 지속적이고 동일한 배양결과물을 획득하고, 미생물 계량을 위한 원료 중간산물 목 을 관리하기 위해 균주 보관방법 결정, 관리대장 작성, 활성 확인 등을 수행하는 능력을 함양 : 48 실습 : 현탁배양실습 : 동물세포 현탁배양의 기본 이론을 배우고 배양기의 원리 및 응용기술을 습득 : 48 실습 : 유전자발현분석 : 생화학 진단제품 제작이란 생화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분석시료을 확보하고 반응시약을 '' 준비하며 분석조건 최적화를 수행하여 시제품을 제작하는 능력을 함양 : 48 실습 : 바이오생산실무 : 생산물 회수, 분리·정제, 농축 등을 수행하는 능력을 함양 : 48 실습 : 바이오마커 : 생체내 바이오마커를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개인간 품종간의 유전적인 차이를 비교 분석 / 식물 및 동물의 genomic DNA 추출, 분자마커 분석 : 48 실습 : 분자진단분석실습 : 면역 진단제품 제작이란 진단제품을 제작하기 위하여 항원·항체 반응시약을 제조하고 특정기판에서 항원·항체 반응 최적화를 수행하여 시제품을 제작하는 능력을 함양 : 48 실습 : 재조합DNA 실습 : 다양한 방식의 유전자 클로닝 및 DNA 조작 기술을 실습하여 보다 심화된 DNA 재조합 기술을 습득 : 48 실습 : 생물정보프로그램실습 : 기본적인 OAOS 활용과 유전체정보, 단백질 정보 등 다양한 생물정보를 다루는데 있어, 상용 생물 정보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전암호를 해독하고 유전 정보를 수집, 가공, 활용하는 실무능력 배양 : 48 실습 : 바이오데이터분석 :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저널의 검색, Source의 정보 확보 및 Data의 처리 능력을 함양 : 48 실습 : 유전체정보분석 : 유전자와 유전체, 단백질을 포함한 고분자 생체물질를 분리하여 그 특성과 서열을 분석하는 기법을 익힘 : 48 실습 : 세포활성분석평가 : 생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활성을 분석 및 진단하는 전문적 기술을 훈련 : 48 실습 : 융합프로젝트실습1 : DNA 조작에 필요한 기반 기술 습득 : 64 실습 : 융합프로젝트실습2 : 바이오산업 중 유전자와 단백질을 분석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익혀 현장적응력을 높임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