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폴리텍대학 전국 캠퍼스 안내
캠퍼스명을 선택하시면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서울.경기: ①Ⅰ대학(1대학) ②Ⅱ대학(2대학) 강원도: ③Ⅲ대학(3대학) 충청북도: ④Ⅳ대학(4대학), ■기술대안고교 충청남도: ④Ⅳ대학(4대학), ★특성화 전라북도: ⑤Ⅴ대학(5대학), ●인재원, ◆신기술교육원 전라남도: ⑤Ⅴ대학(5대학) 경상북도: ⑥Ⅵ대학(6대학), ★특성화 경상남도: ⑦Ⅶ대학(7대학), ★특성화 제주도: ①Ⅰ대학(1대학)
- 서울.경기 : 서울정수캠퍼스, 서울강서캠퍼스, 성남캠퍼스, 융합기술교육원, 인천캠퍼스, 남인천캠퍼스, 화성캠퍼스, 광명융합기술교육원, 반도체융합캠퍼스
- 강원도 : 춘천캠퍼스, 원주캠퍼스, 강릉캠퍼스
- 충청북도 : 청중캠퍼스, 충주캠퍼스, 다솜고등학교
- 충청남도 : 대전캠퍼스, 아산캠퍼스, 충남캠퍼스, 바이오캠퍼스
- 경상북도 : 대구캠퍼스, 남대구캠퍼스, 구미캠퍼스, 포항캠퍼스, 영주캠퍼스, 영남융합기술캠퍼스, 로봇캠퍼스
- 전라북도 : 전북캠퍼스, 익산캠퍼스, 인재원, 신기술교육원
- 경상남도 : 창원캠퍼스, 부산캠퍼스, 울산캠퍼스, 동부산캠퍼스, 진주캠퍼스, 석유화학공정기술교육원, 항공캠퍼스
- 전라남도 : 광주캠퍼스, 전남캠퍼스, 순천캠퍼스
- 제주도 : 제주캠퍼스
- ①Ⅰ대학
- ②Ⅱ대학
- ③Ⅲ대학
- ④Ⅳ대학
- ⑤Ⅴ대학
- ⑥Ⅵ대학
- ⑦Ⅶ대학
- ★특성화
- ●인재원
- ◆신기술교육원
- ■기술대안고교
수도권
경상도
제주도


campus 콘텐츠영역
location영역
바이오캠퍼스 본문
바이오의약분석((구)생명의약분석)

바이오의약분석과 (구)생명의약분석과 ●학과소개 바이오의약품 약효 및 독성 평가, 유전자 및 단백질 분석, 동물세포 배양 및 단백질생산 등의 기술을 습득하여 바이오의약품 개발, 생산, 품질분석의 핵심 기술을 갖춘 전문기술인력 양성 인류 건강 및 수명연장에 필수적인 다양한 의약품의 효능 검증과 독성평가를 위해 살아있는 시약인 실험동물에 특화된 현장 실무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 개설된 국내 유일의 실험동물 전문학과 바이오의약품 기업의 성장 가속화 및 바이오의약품 품질분석에 대한 급증한 신규 인력 수요에 부응하고자 바이오의약품의 품질분석에 특화된 미래신성장동력학과 ▶2023년 혁신성장 개편학과 바이오의약품 품질분석(유전분석·면역분석·세포분석·비임상시험분석)과 바이오의약품 생산(세포배양 기반 항체의약품 생산·mRNA 백신 생산·세포치료제 생산) 분야 핵심 현장 실무기술을 겸비한 바이오의약품 전문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학과입니다. ●주요 전공영역 바이오기초 : - 생명과학 - 화학및실험 - 기초조작실습 - 기초생화학 - 기초분자생물학 바이오의약품생산: - 바이오의약품법규 - 바이오의약품 GMP실무 - mRNA 생산기술 - 세포치료제생산실습 - 항체생산실습 - 문서생산실무(GMP문서 작성 등) 바이오의약품품질관리 : - 면역의약분석 - 바이오임상병리 - 유전분석실무 - 의약분석실무 - 비임상효능평가 - 비임상독성평가 - 바이오분석 - 바이오의약품분석 - 세포치료제분석 ●취업분야 취업분야 : 바이오/제약/ 바이오의약품기업 (품질관리 및 생산), 비임상 시험기관, 동물실험, 바이오 및 바이오의약품 기업 부설 연구소 (연구개발), 대학 및 병원, 정부출연기관 (연구개발 및 분석) ●학과 특징 및 경쟁력 ▶최고 수준의 산·학 협력관계를 선도하는 학과 - 세계 최고 수준의 바이오의약품 CMO 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와 협약체결 - 기적의 항암제인, CAR-T 치료제의 국내 1위 & 세계적 선도기업인 큐로셀과 협약체결 - 바이오 연구개발 분야 국내 최고의 정부출연연구소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협약체결 - 바이오의약품 생산 분야 국내 최대의 공공기관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협약체결 - 국내 바이오기업의 대표 협의체인 한국바이오협회와 협약체결 - 바이오기업 지원기관(약 40개)의 총괄 협의체인 한국바이오특화센터협의회와 협약체결 - 국내 최대의 실험동물 GLP 기관인 “안전성평가연구소”와 협약체결 ▶대외 바이오 현장실무 인력양성 분야, 사업 수행 국내 1위 학과 - [계속] 대졸 바이오인턴십, 이공계전문기술연수사업(과기부, 2007년~ 현재) - [계속] 삼성바이오로직스 산학인턴 실무연수사업(삼성바이오로직스, ???? ~ 현재) - [수행] 디지털 연계 흡수성소재 융복합의료산업 기반구축사업: 인력양성(산업부, 2023 ~ 현재) - [완료] 신약개발기술인력재교육사업(지식경제부, 2008 년 ~ 2010년) - [완료] 바이오의약품실무형 현장전문인력양성사업(지식경제부, 2011년 ~ 14년) ▶바이오 분야 중 인력부족이 가장 심각한 바이오의약품에 특화된 학과 바이오의약품 분야는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 롯데바이오로직스 등 기업투자 급증에 따른 산업의 급성장으로 전문 인력공급이 가장 절실한 분야 - [바이오산업의 급성장]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012년(1조 7천) 대비 2021년(4조 7천억)에 3배 이상 급성장, 수출실적은 4천억에서 1조 8천억으로 4배 이상 고속 성장(국내 바이오의약품산업 KEY DATA 2023,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 [바이오의약품 인력수급 전망] 고령화 → 의약품 수요 증가→ 바이오의약품 산업 고속 성장 → 신규 인력 수요 급증(향후 5년간, 즉 ‘23 ~’27년, 바이오의약품 산업에 약 3만 명의 인력 필요. 특히, 바이오의약품 분야 초대졸 인력은 약 9천 명 필요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한국바이오협회(2022)) - [바이오의약품 인력 부족] 공급 대비 24년 8,716명, 25년 8,136명, 26년 9,462명 부족 등 매년 1만 명에 달하는 추가인력 양성이 절실(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한국바이오협회(2022)) ●주요 취업처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녹십자, SK케미칼, 동아ST(동아제약), 한미약품, 종근당, 대웅제약, 코오롱생명과학,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켐온, 안전성평가연구소(KIT), 메디톡스, 제넥신, 에이프로젠, 폴루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