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폴리텍대학 전국 캠퍼스 안내
캠퍼스명을 선택하시면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서울.경기: ①Ⅰ대학(1대학) ②Ⅱ대학(2대학) 강원도: ③Ⅲ대학(3대학) 충청북도: ④Ⅳ대학(4대학), ■기술대안고교 충청남도: ④Ⅳ대학(4대학), ★특성화 전라북도: ⑤Ⅴ대학(5대학), ●인재원, ◆신기술교육원 전라남도: ⑤Ⅴ대학(5대학) 경상북도: ⑥Ⅵ대학(6대학), ★특성화 경상남도: ⑦Ⅶ대학(7대학), ★특성화 제주도: ①Ⅰ대학(1대학)
- 서울.경기 : 서울정수캠퍼스, 서울강서캠퍼스, 성남캠퍼스, 융합기술교육원, 인천캠퍼스, 남인천캠퍼스, 화성캠퍼스, 광명융합기술교육원, 반도체융합캠퍼스
- 강원도 : 춘천캠퍼스, 원주캠퍼스, 강릉캠퍼스
- 충청북도 : 청중캠퍼스, 충주캠퍼스, 다솜고등학교
- 충청남도 : 대전캠퍼스, 아산캠퍼스, 홍성캠퍼스, 바이오캠퍼스
- 경상북도 : 대구캠퍼스, 남대구캠퍼스, 구미캠퍼스, 포항캠퍼스, 영주캠퍼스, 영남융합기술캠퍼스, 로봇캠퍼스
- 전라북도 : 전북캠퍼스, 익산캠퍼스, 인재원, 신기술교육원
- 경상남도 : 창원캠퍼스, 부산캠퍼스, 울산캠퍼스, 동부산캠퍼스, 진주캠퍼스, 석유화학공정기술교육원, 항공캠퍼스
- 전라남도 : 광주캠퍼스, 전남캠퍼스, 순천캠퍼스
- 제주도 : 제주캠퍼스
- ①Ⅰ대학
- ②Ⅱ대학
- ③Ⅲ대학
- ④Ⅳ대학
- ⑤Ⅴ대학
- ⑥Ⅵ대학
- ⑦Ⅶ대학
- ★특성화
- ●인재원
- ◆신기술교육원
- ■기술대안고교
경상도
제주도

campus 콘텐츠영역
location영역
바이오캠퍼스 본문
바이오의약분석((구)생명의약분석)

바이오의약분석과 (구)생명의약분석과 ●학과소개 바이오의약품 약효 및 독성 평가, 유전자 및 단백질 분석, 동물세포 배양 및 단백질생산 등의 기술을 습득하여 바이오의약품 개발, 생산, 품질분석의 핵심 기술을 갖춘 전문기술인력 양성 인류 건강 및 수명연장에 필수적인 다양한 의약품의 효능 검증과 독성평가를 위해 살아있는 시약인 실험동물에 특화된 현장 실무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 개설된 국내 유일의 실험동물 전문학과 바이오의약품 기업의 성장 가속화 및 바이오의약품 품질분석에 대한 급증한 신규 인력 수요에 부응하고자 바이오의약품의 품질분석에 특화된 미래신성장동력학과 ▶미래신성장동력학과 선정 국가의 미래신성장동력분야 산업수요를 고려하여 특성화분야로 학과를 개편하여, 바이오 관련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우수한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학과 ●주요 전공영역 바이오기초 : - 생명과학 - 화학 및 실험 - 기초조작실습 - 동물사육관리 바이오의약품 생산 : - 의약품GMP - 바이오의약품 GMP 실무 - 생산문서관리 - 단백질의약품생산기술 바이오의약품 품질관리 : - 유전자진단분석 - 이오분석장비 - 바이오의약품분석 - 분자생물기술 - 세포배양 및 분석 - 항체분석 - 동물 조직병리 - 동물해부생리 - 바이오의약품 비임상평가 ●취업분야 취업분야 : 바이오/제약/ 바이오의약품기업 (품질관리 및 생산), 비임상 시험기관, 동물실험, 바이오 및 바이오의약품 기업 부설 연구소 (연구개발), 대학 및 병원, 정부출연기관 (연구개발 및 분석) ●학과 특징 및 경쟁력 ▶최고 수준의 산학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학과 - 바이오의약품 최고기업 삼성바이오로직스 / 삼성바이오에피스와 협약체결 - 국내 최대의 바이오분야 정부출연연구소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협약체결 - 국내 바이오기업의 대변인 창구인 한국바이오협회와 협약체결 - 국내 최대의 실험동물 GLP 기관인 “안전성평가연구소와 협약체결 ▶정부지원 바이오인력양성 사업 유치 및 수행이 활발한 학과 - 부지원 바이오인력양성 사업 유치 및 수행이 활발한 학과 - 이공계전문기술연수사업(교육과학기술부, 2007년 ~ 현재, 약 3억) - 신약개발기술인력재교육사업(지식경제부, 2008 년~ 2010년, 약 2.5억) - 바이오의약품 실무형 현장전문인력양성사업(지식경제부, 2011년~14년, 21억) ▶미래 전망이 우수한 바이오의약품 분야(품질분석)에 특화되어 있는 학과 - 전 세계 의약품 매출 상위 10개 품목 중 바이오의약품이 7개 차지(2016년 기준) - 국내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은 연평균 11.3% 지속 성장(2011년 ~ 2015년) - 국내 바이오의약품 수출실적은 연평균 34.5%로 고속상장(2011년 ~ 2015년) - 바이오의약품 대표기업인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이 세계 19, 20위 차지 ●주요 취업처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녹십자, SK케미칼, 동아ST(동아제약), 한미약품, 종근당, 대웅제약, 코오롱생명과학,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켐온, 안전성평가연구소(KIT), 메디톡스, 제넥신, 에이프로젠, 폴루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