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폴리텍대학 전국 캠퍼스 안내

캠퍼스명을 선택하시면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한국폴리텍대학 전국 캠퍼스 지도
 서울.경기: ①Ⅰ대학(1대학) ②Ⅱ대학(2대학)
 강원도: ③Ⅲ대학(3대학)
 충청북도: ④Ⅳ대학(4대학), ■기술대안고교
 충청남도: ④Ⅳ대학(4대학), ★특성화
 전라북도: ⑤Ⅴ대학(5대학), ●인재원, ◆신기술교육원
 전라남도: ⑤Ⅴ대학(5대학)
 경상북도: ⑥Ⅵ대학(6대학), ★특성화
 경상남도: ⑦Ⅶ대학(7대학), ★특성화
 제주도: ①Ⅰ대학(1대학)
  • Ⅰ대학
  • Ⅱ대학
  • Ⅲ대학
  • Ⅳ대학
  • Ⅴ대학
  • Ⅵ대학
  • Ⅶ대학
  • 특성화
  • 인재원
  • 신기술교육원
  • 기술대안고교
한국폴리텍대학 전국 캠퍼스 바로가기 닫기

한국폴리텍대학 바이오캠퍼스

학과찾기
Top
닫기

campus 콘텐츠영역

location영역

바이오캠퍼스 본문

바이오나노소재

교수소개

  • 박철순 교수 사진
    박철순
    • 직위교수(바이오나노소재학과장)
    • 주요과목바이오나노소재(합성, 제형분석)
    • 연락처041-746-7395
    • E-mailcspark84@kopo.ac.kr
    • 학력건양대학교 나노신소재학과(학사)
      경상국립대학교 화학과(석사)
      전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박사)
    • 주요경력- (주)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 신약연구개발 연구원, 과장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후연구원
      - K-MEDI hub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선임연구원, 공정개발팀장
    • 주요실적- SCI(E) 국외 논문 41편
      - 국내외 특허 30건
      - 우수연구특허 기술이전 12건
      - 보건복지부장관 표창(보건의료기술진흥유공자 포상, 2022)
      - Global PhD fellowship 선정(교육부 포상, 2017)
    • 연구분야- 의약화약 및 의약품공정개발
      - 의약품제형소재 합성 및 분석
      - Flow chemistry 유기합성 공정개발
      - 바이오나노소재 합성 및 표면공학기술 활용 바이오센서개발
  • 정영환 교수 사진
    정영환
    • 직위교수(산학협력단장)
    • 주요과목생화학(나노재료화학)
    • 연락처041-746-7331
    • E-mailnanomol@kopo.ac.kr
    • 학력부산대학교 화학과(학사)
      KAIST 화학과(석사/박사)
    • 주요경력- (주)유한양행 중앙연구소 책임연구원
      - KAIST BK21 연구교수
    • 주요실적- 국내외 학술논문 31편 게재 및 학술대회 25건 발표
      - 국제 특허 7건 및 국내 특허 11건 등록
      - 정부지원 연구개발과제 4건(연구책임자)
      - 방사성 동위원소 취급자 일반면허
    • 연구분야- 핵산생화학
      - 분자생물학
      - 나노재료화학
  • 서요한 교수 사진
    서요한
    • 직위교수
    • 주요과목세포생리학(세포배양), 약리학(유효성/안전성 평가), 바이오의약품(분자생물학)
    • 연락처041-746-7394
    • E-mailyseo@kopo.ac.kr
    • 학력연세대학교 의생명과학(학사/석사/박사)
    • 주요경력청운학원/예일학원 과학 강사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박사후 연구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선임연구원
    • 주요실적- 한국연구재단 연구개발 과제 7건 연구책임자
      - 국내외 논문 50편(SCIE 46편),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43건
      - 국내외 특허 17건
      - 케이메디허브 표창, 2021
      - 국가신약개발재단 LAB2IND 은상/동상
      - 대한약학회 학술대회 우수구두발표상/포스터상 다수
    • 연구분야- 바이오의약품 활성 평가
      - 세포기반 고속대량스크리닝(HTS/HCS) 시스템 구축 및 활성 평가
      - 항암/항염증 타깃 발굴 (Ion channel, GPCR) 및 신규기전 규명
      - 바이오나노소재 유효성/안정성 평가(후보물질 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