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폴리텍대학 전국 캠퍼스 안내
캠퍼스명을 선택하시면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서울.경기: ①Ⅰ대학(1대학) ②Ⅱ대학(2대학) 강원도: ③Ⅲ대학(3대학) 충청북도: ④Ⅳ대학(4대학), ■기술대안고교 충청남도: ④Ⅳ대학(4대학), ★특성화 전라북도: ⑤Ⅴ대학(5대학), ●인재원, ◆신기술교육원 전라남도: ⑤Ⅴ대학(5대학) 경상북도: ⑥Ⅵ대학(6대학), ★특성화 경상남도: ⑦Ⅶ대학(7대학), ★특성화 제주도: ①Ⅰ대학(1대학)
- 서울.경기 : 서울정수캠퍼스, 서울강서캠퍼스, 성남캠퍼스, 융합기술교육원, 인천캠퍼스, 남인천캠퍼스, 화성캠퍼스, 광명융합기술교육원, 반도체융합캠퍼스
- 강원도 : 춘천캠퍼스, 원주캠퍼스, 강릉캠퍼스
- 충청북도 : 청중캠퍼스, 충주캠퍼스, 다솜고등학교
- 충청남도 : 대전캠퍼스, 아산캠퍼스, 충남캠퍼스, 바이오캠퍼스
- 경상북도 : 대구캠퍼스, 남대구캠퍼스, 구미캠퍼스, 포항캠퍼스, 영주캠퍼스, 영남융합기술캠퍼스, 로봇캠퍼스
- 전라북도 : 전북캠퍼스, 익산캠퍼스, 인재원, 신기술교육원
- 경상남도 : 창원캠퍼스, 부산캠퍼스, 울산캠퍼스, 동부산캠퍼스, 진주캠퍼스, 석유화학공정기술교육원, 항공캠퍼스
- 전라남도 : 광주캠퍼스, 전남캠퍼스, 순천캠퍼스
- 제주도 : 제주캠퍼스
- ①Ⅰ대학
- ②Ⅱ대학
- ③Ⅲ대학
- ④Ⅳ대학
- ⑤Ⅴ대학
- ⑥Ⅵ대학
- ⑦Ⅶ대학
- ★특성화
- ●인재원
- ◆신기술교육원
- ■기술대안고교
수도권
경상도
제주도


QUICK MENU

법인 콘텐츠(본문) 영역
location 영역
본문
소규모사업장훈련
소규모사업장훈련

○ 지원사업이란? 전국폴리텍 인프라를 기반으로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맞춤형 원스탑 기술지원 서비스 제공으로 기업 생산성 향상 및 근로자 역량 강화 제고 - 근로자 : 직무능력향상 - 소규모 사업장 지원 : 현장애로 기술지도 - 기업 : 기업생산성 제고 ○ 지원대상 구내에 소재한 모든 1인 이상 소규모사업장과 300인 미만 중소기업 * 고용보험 가입 여부와 관계없음 신청자격 제한 : 휴·폐업 상태의 기업 - 사치 향락적 소비·투기 조장 업종 - 비영리 법인, 단체 또는 조합 ○ 기술지원 분야 IT, 반도체, 바이오, 로봇, 기계, 전기, 전자, 자동차, 산업설비 등 중점 산업 분야 - 뿌리산업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 등 - 첨단분야 항공·우주 모빌리티, AI, 로봇, 바이오 헬스, 첨단부품·소재 반도체, 디지털, 환경·에너지 등 - 특성화 디자인, 의료공학, 섬유패션, 건축, 주얼리 등 ○ 소규모사업장 지원사업 유형 기술애로, 산업안전, 생산성향상, 경력설계 및 조직문화 등 기업 경영발전에 대한 사항 - 토탈케어 기술애로 해결, 산업안전, 생산성 향상, 그리고 AI와 마케팅 등 기타 분야에 이르기까기 전반적인 기업 활동을 지원하는 종합 서비스 - 기술케어 기업이 직면한 산업안전 및 기술적인 문제와 애로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적인 지원 - 경영케어 변화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AI, 마케팅 등과 같은 다양한 경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원 - 조직케어 기업 내 구성원의 경력 설계와 조직 문화를 개선하여 보다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조직을 만들기 위한 지원 ○ 지도 방식 기업 요구 및 지도 내용에 따라 현장형으로 진행 기업 현장에서 직접 진행하는 지도를 원칙으로하되 단, 장비나 시설 등의 부족으로 기업에서의 지도가 어려운 경우 캠퍼스에서 지도 ○ 소규모사업장 지원사업 장점 - 찾아가는 기술지원 서비스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기술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신기술 분야 교육 실시 AI, 반도체, 로봇, 바이오 등 신기술 분야의 교육과정을 운영합니다. - 맞춤형 과정 개설 사업주, 근로자가 희망하는 기술지도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과정을 개설합니다. -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교수진 운영 폴리텍대학의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우수한 교수진과 산업체 전문인력이 지도합니다. - 폴리텍 산업성장지원 교수단 자격 조건 ① 폴리텍 퇴직 교원 ② 해당산업분야(직종)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소공인 사업장 등에서 해당분야의 연구 또는 현장 실무경력이 10년 이상인 사람 ③ 해당 분야에 대한민국 명장, 기술사, 기능장, 기술지도사 중 자격을 갖춘 사람 ④ (산업인력공단) 산업현장교수, 능력개발전담주치의, 민산훈련기관 교사,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팩토리 전환교육 컨설턴트, (각종 협회) 한국기술사회, 명장 등 ⑤ 소규모사업장 운영협의체에서 인정하는 사람 - 폴리텍 산업성장지원 교수단 인력POOL 지원신청 ○ 소규모사업장 지원사업 운영절차 1. 수요조사 수요조사를 통해 희망기업을 발굴합니다. 2. 지원사업 협의 캠퍼스와 기술지원유형 및 장소, 기술지원 내용 등에 대한 협의를 진행합니다. 3. 지원사업 신청 지원사업 협약체결, 현장애로기술지도 신청 서류 등을 제출합니다. 4. 기술지도 실시 기업이 요청한 기술지원 내용을 바탕으로 과제를 개발하고 기술지도를 실시합니다. 5. 만족도도사 참여자의 훈련 참여 만족도를 조사합니다. "직원들의 설비 이해 능력이 향상됐어요" 새로 사업을 시작하면서 생산설비는 갖추었지만 설비를 운용할 진문인력이 부족해 고민이었는데 폴리텍대학 소규모사업장 지원사업을 통해 직원들이 필요한 기술을 익힐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직원들의 기술능력이 향상되어 회사를 운영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금형개발업체 대표 김ㅇㅇ ○ 소규모사업장 지원사업 Q&A Q1 현재 기업이 위치한 지역에는 폴리텍대학이 없습니다. 타 지역의 폴리텍대학에서도 소규모사업장 기술지원 가능한가요? 가급적 해당 기업이 위치한 캠퍼스의 지원 참여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다만 해당지역에 폴리텍대학 캠퍼스가 없거나, 해당 지역의 캠퍼스에 지원직종이 없는 경우 등 부득이한 경우는 협약에 따라 타 지역에서도 실시 가능합니다. Q2 이전에 소규모사업장 기술지원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다. 또 참여할 수 있나요? 네. 횟수에 재한이 없습니다. Q3 소규모사업장 지원사업을 희망합니다. 훈련 시기나 인원에 제한이 있나요? 소규모사업장 지원사업은 기업의 수요를 최대한 반영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만 학사일정 등 대학 내부 사정에 따라 가능한 인원 및 시기에 일부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Q4 현장애로기술지도를 신청하고 싶은데 근로자수가 50인 이상입니다. 신청이 가능할까요? 네. 1인 이상 사업장이면 가능합니다. ○ 소규모사업장 지원사업 신청 캠퍼스별 연간 지원과정 개설 현황과 캠퍼스별 운영 학과를 알아보고 싶다면? 아래 QR코드를 스캔해주세요 - 캠퍼스안내 ○ 소규모사업장 지원사업 운영 캠퍼스 Ⅰ대학 - 서울정수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2-2001-4861 - 서울강서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2-2186-5823 - 성남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31-739-4142 - 제주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64-754-7127 - 분당융합기술교육원 교학처 031-696-8802 Ⅱ대학 - 인천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32-510-2354 - 남인천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32-450-0316 - 화성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31-350-3135 Ⅲ대학 - 춘천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31-858-2521 - 원주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33-741-7024 - 강릉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33-610-6113 Ⅳ대학 - 대전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42-670-0693 - 청주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43-279-7473 - 아산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41-539-9404 - 충남캠퍼스 교학처 041-630-3522 - 충주캠퍼스 교학처 043-850-4205 Ⅴ대학 - 광주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62-519-7047 - 전북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63-540-7647 - 전남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61-450-7359 - 익산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63-830-3028 - 순천캠퍼스 교학처 061-720-1610 Ⅵ대학 - 대구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53-560-3276 - 구미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54-468-5288 - 남대구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54-610-6524 - 포항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54-288-2212 - 영주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54-639-4225 - 영남융합기술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53-980-1143 Ⅶ대학 - 창원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55-279-1766 - 부산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51-330-7705 - 울산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52-290-1611 - 동부산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51-609-6042 - 진주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55-760-2209 - 석유화학공정기술교육원 운영지원처 052-290-9608 특성화대학 - 바이오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41-746-7318 - 항공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55-830-3517 - 반도체융합캠퍼스 희망플러스센터 031-650-7245 - 로봇캠퍼스 교학처 054-706-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