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폴리텍대학 전국 캠퍼스 안내
캠퍼스명을 선택하시면 해당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서울.경기: ①Ⅰ대학(1대학) ②Ⅱ대학(2대학) 강원도: ③Ⅲ대학(3대학) 충청북도: ④Ⅳ대학(4대학), ■기술대안고교 충청남도: ④Ⅳ대학(4대학), ★특성화 전라북도: ⑤Ⅴ대학(5대학), ●인재원, ◆신기술교육원 전라남도: ⑤Ⅴ대학(5대학) 경상북도: ⑥Ⅵ대학(6대학), ★특성화 경상남도: ⑦Ⅶ대학(7대학), ★특성화 제주도: ①Ⅰ대학(1대학)
- 서울.경기 : 서울정수캠퍼스, 서울강서캠퍼스, 성남캠퍼스, 융합기술교육원, 인천캠퍼스, 남인천캠퍼스, 화성캠퍼스, 광명융합기술교육원, 반도체융합캠퍼스
- 강원도 : 춘천캠퍼스, 원주캠퍼스, 강릉캠퍼스
- 충청북도 : 청중캠퍼스, 충주캠퍼스, 다솜고등학교
- 충청남도 : 대전캠퍼스, 아산캠퍼스, 충남캠퍼스, 바이오캠퍼스
- 경상북도 : 대구캠퍼스, 남대구캠퍼스, 구미캠퍼스, 포항캠퍼스, 영주캠퍼스, 영남융합기술캠퍼스, 로봇캠퍼스
- 전라북도 : 전북캠퍼스, 익산캠퍼스, 인재원, 신기술교육원
- 경상남도 : 창원캠퍼스, 부산캠퍼스, 울산캠퍼스, 동부산캠퍼스, 진주캠퍼스, 석유화학공정기술교육원, 항공캠퍼스
- 전라남도 : 광주캠퍼스, 전남캠퍼스, 순천캠퍼스
- 제주도 : 제주캠퍼스
- ①Ⅰ대학
- ②Ⅱ대학
- ③Ⅲ대학
- ④Ⅳ대학
- ⑤Ⅴ대학
- ⑥Ⅵ대학
- ⑦Ⅶ대학
- ★특성화
- ●인재원
- ◆신기술교육원
- ■기술대안고교
수도권
경상도
제주도


campus 콘텐츠영역
location영역
인천캠퍼스 본문
2024 신설★ 반도체시스템과(주간)

STORY 01 About 우재우 성명 : 우재우 직위 : 교수(반도체시스템과 학과장) 경력 : 삼성전자 반도체공정 설비엔지니어 5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연구원 10년 Q. 교수님!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릴께요. 안녕하세요! 저는 반도체기업에서 설비 엔지니어로 근무한 우재우 교수입니다. 한국폴리텍대학 인천캠퍼스 반도체시스템과 학과장을 맡고 있습니다. Q. 반도체 설비엔지니어 라는 분야를 생소하게 느끼시는 분이 많을 것 같아요. 직무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반도체 설비직무는 말 그대로 반도체 생산설비를 운영하고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직무인데요. 반도체설비가 고장났을 때 고치고, 성능 향상을 위해 테스트도 해보고, 고장안나게 설비를 개선하는 업무를 합니다. 이를 잘하기 위해서는 반도체장비롸 공정의 이해를 바탕으로 트러블 슈팅에 대한 열정과 근성, 체계적인 상황분석 및 문제해결 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Q. 교수님은 어떻게 '반도체 설비엔지니어'가 되셨나요? 직무에 관심을 갖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었나요? 제가 반도체 관련 업무를 시작한 건 2006년입니다. 우연한 기회에 S전자 '반도체 설비엔지니어 모집'이라는 공고를 보고 당시 대학생이었던 저는 반도체 업계에서 일하고 싶다는 막연한 동경만으로 지원하게 되었네요^^ Q. 반도체 업무를 준비하시고 ㅇ비사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업무를 수행하면서 어려움이 많이 있으셨을 것 같아요. 처음 들어갔을 때는 장비를 켜는 방법도 몰랐어요. 제가 입사한 시기에 반도체 장비들이 일본과 유럽에서 도입된 방비들이 많았기 때문에 업무에 대한 이해가 어려웠습니다. 회사에서 적응할 때까지 기다려주시고 많이 배려해주신 덕분에 제가 성장할 수 있었건 것 같아요. Q. 반도체 설비엔지니어에 대해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대기업에 입사할 수 있었던 것은 어떤 점을 어필하셨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세요? 제가 입사한 곳이 S전자인데 기업의 경영 문화를 중심으로 말했던 부분이 면접 때 좋은 점수를 딴 것 같습니다. 회사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셔서 좋게 봐주셨던 것 같아요. 잘 모르는 업무에 대해서 말하는 것보다 아는 부분에 대해서 솔직하게 말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해요. STORY 02 회사, 그리고 일 Q. 반도체 설비엔지니어가 되기까지 교수님의 노력이 궁금합니다! 처음 ㅇ비사 후에 전기공학도임에도 반도체에 무지하단 걸 깨닫고 회사에서 실시하는 엔지니어 업무과 관련된 모든 강의를 수강하면거 지식을 쌓았어요. 그리고 클린룸에서 직접 공정, 장비를 운용하면서 설비엔지니어로서 전문성을 갖추도록 노력했고, 장비의 Set up과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메뉴얼을 만들어서 다른 엔지니어들에게 지식을 전수해주며 서로 공유하고 했던 역할이 저를 조금씩 성장시켜 주는 기회가 됐던 것 같아요. Q. 문제가 발생한 부분에 대한 기술적인 이해도 필요할 것 같아요. 장비 시스템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장비 내 전기배선이 노후화로 단선이 되서 구동이 안될 수도 있고 센서가 고장인지 아니면 장비 내 부품 간 통신연결이 끊겼는지 등 기본적인 이해가 되어 있어야 원인을 분석하고 팀 내에서 논의가 가능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트러블 슈팅의 기초가 되는 밸브 구동원리 등의 시퀀스 및 PLC/PC제어 관련 지식을 미리 습득하고 있어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대책을 세울 수 있어요. 저희 반도체시스템과에서는 이런 기술들을 학생들에게 알려줘서 현장에서 발생하는 설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실무형 커리큘럼으로 설계했어요^^ Q. 반도체 설비엔지니어 업무를 하면서 가장 힘든 부분은 어떤 점이세요? 설비엔지니어로서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것이 기술적 지식뿐만 아니라 체력이라고 생각해요. 제가 3교대 업무를 수행하기에 무리가 없을 만큼 평소 주 3회 자전거 타기와 헬스를 통해 지구력과 근력을 키웠고 이러한 체력은 설비엔지니어로서의 직무를 어둑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도움을 준 것 같아요. Q. 교수님께서는 사회 초년생으로 돌아가면 다시 이 직업을 선택하시겠나요?? 좀 더 활동적인 일을 할 수 있덨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은 있습니다. 그래도 반도체 설비엔지니어의 일을 계속 할 것 같아요. 반도체 설비엔지니어에만 한정되지 않고 반도체 전반적인 분야로 역량을 넓힐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STORY 03 교수의 빛나는 조언 Q. 입학하는 학생들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나 컨텐츠를 말씀해주세요! "반도체 제대로 이해하기(지은이 강구창, 펴낸곳 지성사)"라는 반도체공학 입문에 도움이 되는 책이예요. '아빠는 회사에서 뭐해?'라는 초등학생 딸의 질문에서 시작된 만큼 쉽게 쓰였죠. 예를 들어 실리콘, 규소, 유리는 대표적인 반도체 물질입니다. 한데 신라 고분에서 유리잔과 유리병이 출토돼요. 1천 년 전부터 반도체를 이용한 셈인데, 왜 현대에서 반도체를 미래르 여는 기술이라고 할까요? 반도체 설계자인 지은이는 이런 식으로 반도체의 개념과 변천사를 소개하고 생소한 기호와 복잡한 수식을 덜어내 중학교 수준의 지식으로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되어져 추천해요^^ Q. 학생들이 갖췄으면 하는 자세나 역량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 유종의 미를 거두려는 마음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저도 처음에는 마지막까지 마무리를 잘 하지 못햤거든요. 일이 틍어진다 싶으면 그만두고 싶어 했습니다. 그렇지만 그때 그만둬버리면 아무것도 할 수 없어요. 힘든 일이 있더라도 맡은 일을 끝까지 하는 모습을 보였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기업에서 일을 하다보면 작은 분제와 여러 오해들로 큰 피해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소극적 행동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상황을 해결하는 엔지니어"가 되셨으면 좋겠어요. 능동적 태도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이 매우 중요한 것 같아요. Q. 반도체 설비엔지니어에 대한 전망을 어떻게 보시나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잘하는 분야가 반도체 제조입니다. 경제를 받치고 있는 반도체 제조업이 앞으로 계속 잘하도록 끌고 나가줘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기술 업그레이드가 무엇보다 중요한 반도체 제조에서 최첨단 장비를 다루는 설비엔지니어의 역할은 굉장히 중요하고,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더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Q. 마지막으로 교수님에게 우리 반도체시스템과는 ○○○이다. 정의해주세요. 저희 반도체시스템과는 반도체의 여러가지 요소인 물리, 화학, 전기, 전자, 제어 중 전기전자제어 파트를 ㅈ우심으로 가르칩니다. 반도체방지에 들어가는 부품을 이해하고 직접 장비를 만들어볼 수 있도록 기구를 설계하고 조립하고 제자을 해보면서 미쓰비시 PLC와 PC기반 언어인 C,C++, C#, 파이썬 등 S/W 기술을 활용해 관련 제어기술을 습득합니다. 한마디로 "반도체설비 유지보수 특화 엔지니어를 양성하는 학과"입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립니다.^^